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정보

아침에 일어나면 입냄새가 나는 이유는?(입냄새 만드는 원인과 입냄새자가 진단방법)

반응형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하다 보면 유독 입냄새가 심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정작 당사자는 입냄새가 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생각하면 나는 입냄새가 나도 모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입냄새는 큰 병은 아닐지라도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입냄새는 그 원인을 빨리 찾아서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입냄새란 입 안의 박테리아가 단백질을 분해하면서 생기는 휘발성 황화합물로 인해 입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는 것을 말하며, 잇몸질환(치주염), 충치나 오래된 보철물하방의 치태 세균, 설태(혀 표면이 하얗게 혹은 검게 변하거나 털이 난 것처럼 보이는 증상)에 의해 주로 생기며, 당뇨병이나 신장질환과 같은 병이 있어도 입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병으로 인하여 나는 입냄새는 조금 다른데 당뇨병이 심할 경우 달콤한 과일냄새 같은 아세톤 향의 냄새가 날 수도 있고, 신부전에 의한 요독증이 있으면 숨을 쉴 때마다 소변 냄새나 암모니아 냄새가 나며, 간경화증 환자에서는 피 냄새나 계란이 썩은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입냄새는 우리가 어떤 음식을 먹느냐에 따라서도 달라지는데, 우리가 먹은 음식 중 위와 대장을 통해 소화된 대사물질은 피 속으로 흡수돼 숨을 쉴 때마다 밖으로 배출되며, 양파, 마늘, 술, 향이 강한 음식을 먹은 후 양치질을 해도 입에서 냄새가 나는 이유는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입냄새 자가 진단 방법으로는 손등이나 팔에 혀로 침을 묻히고 1~2초 후에 냄새를 맡아보거나, 두 손이나 종이컵에 입김을 불어 확인하면 입냄새가 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혀의 가장 안쪽을 손가락으로 찍어 냄새를 맡아보거나 혀의 백태를 면봉에 묻히고 냄새를 맡아보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입냄새는 아침에 일어나면 특히 심하게 나는데, 아침에 일어났을 때 입냄새가 나는 이유는 자는 동안 침이 적게 나오기 때문으로 침이 적으면 세균이 혀와 치아 표면에서 빠르게 증식되고 밤새 고여 있던 침의 산도가 높아지면서 입안에 남아 있던 음식물 찌꺼기나 잇몸의 단백질을 부패시키는 것도 원인입니다.

 

입냄새는 다이어트를 할 때도 날 수가 있는데, 다이어트를 하면서 탄수화물의 섭취를 줄이고 단백질 섭취를 많이 하다 보면 탄수화물 대신 지방이 분해되면서 냄새를 유발하는 케톤이라는 화학물질이 생성되면서, 생성된 케톤은 호흡을 통해서 밖으로 배출되면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입냄새는 편도결석으로 인하여 생길 수도 있는데, 편도염을 자주 앓으면 편 도와라고 하는 작은 구명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곳에 음식찌꺼기와 세균이 뭉치면 쌀알 크기의 알갱이가 생기게 되는데, 이런 이유로 입냄새가 날수도 있다고 합니다.

 

 

입냄새의 원인 중 하나는 역류성 식도염으로 역류성 식도염은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위에 쌓여 있는 음식물 냄새가 올라와 역한 입냄새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분비 억제제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지만, 평소에 흡연과 음주를 줄이고 채소와 과일을 많이 먹는 게 도움이 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자신은 모르지만 날 수도 있는 입냄새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입냄새의 원인과 아침에 입냄새가 많이 나는 이유, 입냄새 자가 진단 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