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으로는 채소나 야채, 과일 등은 신선한 상태로 섭취하면 좋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채소나 과일중에는 말려서 먹으면 더욱 영양성분이 높아져 우리 몸에 좋다는 것을 아시나요?
하지만 모든 채소나 과일이 말려서 먹는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번 시간에는 말려서 먹으면 더욱 좋은 식품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채소나 과일을 말린다는것은 수분을 날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수분을 날리게 되면 적은 양을 먹어도 많은 영양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데, 수분이 줄어든 만큼 영양소의 밀도는 많아지게 됩니다.
마른 채소는 무기질과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아지고, 마른 과일은 생과일보다 비타민과 미네랄 함량이 5~10배 이상 증가한다고 합니다.
특히 건과일은 당도가 4배이상 높이지고 식감도 쫄깃하며 단맛도 즐길 수 있고, 과일을 말릴 때는 껍질째 말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껍질에 들어있는 영양성분까지도 섭취할 수 있습니다.
말려서 먹는 것이 좋은 이유중 하나는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에 곰팡이나 세균의 번식의 위험도 줄어들어 장기간 보관도 용이해진다는 것입니다.
맛과 영양까지 풍부해지는 채소와 과일은 어떤 것이 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말려서 먹으면 좋은 식품 : 표고버섯.
버섯은 보관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생겨 금방 상하기 때문에 건조하여 보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우리가 즐겨 먹는 버섲중 하나인 표고버섯은 생으로 먹는 것보다 말려서 먹으면 맛과 향이 더욱 강해지고 영양 성분도 훨씬 높아진다고 합니다.
표고버섯에는 비타민D, B1, B2, 무기질 등이 풍부하게 들어있는데, 표고버섯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비타민D의 함량이 무려 8배 이상 증가해 칼슘 흡수율을 높여준다고 합니다.
말린 표고버섯에는 항산화 성분인 셀레늄과 레시틴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신체 면역력과 항암작용에 도움을 주며, 레티오닌 성분은 두뇌 활동을 촉진시키고 집중력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2. 말려서 먹으면 좋은 식품 : 호박고지.
호박고지는 애호박을 얇게 썰어서 말린 것을 말하는데, 호박고지는 물에 불려 나물로 무쳐 먹거나 찌개에 넣어서 먹습니다.
애호박은 생으로 먹을때보다 말려서 호박고지로 먹을 때 칼륨의 함량이 무려 16배 이상 증가하는데, 칼륨은 우리 몸속 나트륨을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해 고혈압을 예방하고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해 혈관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호박고지는 비타민A가 풍부한 식품중 하나인데, 비타민 A는 기관지 점막 세포의 생성을 도와 목감기 예방과 신체 면역력에 도움을 주며, 야맹증, 개선과 탈모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성분입니다.
3. 말려서 먹으면 좋은 식품 : 무청시래기.
무청시래기는 무를 수확하고 잎과 줄기를 말려서 만든것을 말합니다.
간혹 우거지와 시래기를 착가하는 분들이 있는데, 시래기는 무청을 말린 것이고, 우거지는 배추를 말린 것입니다.
무청시래기에는 무보다 10배 이상의 칼슘이 들어있다고 합니다.
시래기 100g당 칼슘이 335mg 들어있는데, 이는 성인 하루 권장 섭취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양이며, 칼슘은 뼈를 튼튼하게 해 주어 골다공증 예방에 좋은 성분 중 하나입니다.
무청시래기는 항산화 효과도 뛰어난데, 건조과정에서 베타카로틴과 글루코시놀레이트 등 항암 물질이 증가해 암을 유발하는 유해물질을 없애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이는 많은 연구결과에서도 잘 알려져 있는 사실입니다.
4. 말려서 먹으면 좋은 식품 : 무화과.
무화과는 달콤한 맛과 영양이 풍부해 예로부터 즐겨먹던 과일 중 하나이지만, 보관기관이 짧기 때문에 건조하여 보관하였습니다.
무화과를 말리면, 겉은 쫄깃하고 안은 부드러운 식감으로 먹기에도 부담이 없습니다.
건무화과는 항산화 성분인 루테인, 안토시아닌, 카로틴 등이 풍부해 노화 방지에도 좋고, 씨앗에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함유되어 있어 여성 질환에도 좋다고 합니다.
건무화과에는 피신이라는 단백질 분해 효소가 많이 들어있어 소화 작용을 촉진시키는 천연소화제이며, 특히 육류를 섭취한 후 건무화과를 먹으면 소화를 도와주어 속이 편해진다고 합니다.
건무화과에는 수용성 식이섬유인 펙틴도 사과나 오렌지보다 많이 들어가 있어 소화기관을 튼튼하게 해 주고 변비를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고 합니다.
5. 말려서 먹으면 좋은 식품 : 서양 자두(푸룬).
서양 자두를 말린 것을 푸룬이라고 하는데, 우리가 먹는 자두는 씨가 있어 말리게 되면 부패하지만, 서양 자두는 씨가 있는 상태로 말려도 부패하거나 발효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서양자두는 건조 과정에서 소르빈산 칼륨이라는 성분이 천연 방부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말린 자두인 푸룬의 가장 좋은 효능은 바로 변비 개선입니다.
푸룬에는 많은 식이섬유와 소르비톨 성분이 들어있어 장운동을 촉진하고 대변의 이동 시간을 단축해 변비 해소와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푸룬에는 폴리페놀 성분이라는 항산화 성분이 들어있어 노화방지와 암 예방에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말려서 먹으면 좋은 식품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많이 먹는 표고버섯이나 시래기 등도 있고, 가끔 먹는 호박고지나 무화과 푸룬 등도 있습니다.
모두 말려서 먹으면 더욱 효과가 뛰어난 식품들이니 잘 기억하고 계셨다고 드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알아두면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푸른 생선을 꼭 먹어야 하는 이유 (14) | 2022.09.27 |
---|---|
일 능이, 이 표고, 삼 송이...능이버섯의 효능과 부작용 (12) | 2022.09.26 |
오메가 3는 왜 먹어야 하고, 어떤 오메가 3를 골라야 하는지, 오메가 3가 많이 들어있는 음식은? (13) | 2022.09.22 |
혹이라고 불리는 종양, 양성종양과 악성종양 무엇이며 차이점에 대하여 (14) | 2022.09.21 |
하루 5분으로 건강을 찾을수 있는 발마사지, 건강하게 발마사지 하는 방법 (10)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