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

겨울철 등산시 주의해야 할것들.

반응형

주변을 보면 등산을 취미로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주말마다 전국의 유명한 산을 다니는 분들도 있고, 시간이 나면 외국의 유명한 산까지 도전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등산은 처음에는 가볍게 시작할 수 있지만, 중독이 되면 헤어날 수 없는 취미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등산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어느때나 갈 수 있고, 똑같은 산을 올라가도 갈 때마다 다른 풍경을 볼 수 있다는 것이 매력 중 하나같습니다. 하지만 특히 겨울철에는 위험요소가 많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하는데, 이번시간에는 겨울철 등산 시 주의할 점에 대하여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겨울철 등산의 주의할점 : 지나치게 땀을 많이 흘리지 말기.

 

등산을 하면서 땀을 흘리며 바람에 땀이 식는 것에 쾌감을 느끼는 분들이 있는데, 겨울철 등산 시에는 주의하여야 합니다. 겨울철 등산 시 땀이 나게 되면 땀이 마르면서 열을 빼앗아 가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겨울 등산 중 땀을 많이 흘릴 경우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고 저체온증에 더 빨리 노출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겨울철 등산 시에는 천천히 걷는 것이 좋습니다. 땀을 흘리기 위해서 다른 운동을 하는 것과는 다르게 주의하여야 합니다.

 

2. 겨울철 등산시 주의할 점 : 움직일 때 벗고, 멈추었을 때는 입어라.

 

겨울철 등산을 하다보면 기온은 낮은데 움직이다 보면 땀이 나 열이 나지만 체온은 36.5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우리 몸은 계속 노력을 하며 옷을 입었다 벗었다를 반복하는데 이것이 레이어링 시스템(속옷/보온옷/겉옷)이라 합니다. 속옷은 땀흡수와 빠른 건조 기능, 보온옷은 보온과 통풍성, 그리고 겉옷은 외부의 악조건을 막아주는 기능(방풍/ 방습 등)을 합니다. 겨울철 등산일수록 3가지 레이어의 옷을 여러 겹 준비하여 자주 옷을 입고 벗어가면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겨울철 등산시 주의할 점 : 허기지기 전에 먹기.

 

겨울철 등산의 조난자들을 보면 배낭 안에 식량이나 먹을 것들이 충분히 있었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이들은 혹시 모를 사고를 대비하여 음식을 아낀다고 하는데, 조난의 주범인 탈진과 저체온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시장기를 느끼지 전에 수시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너무 지친 상태에서는 입맛과 소화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수시로 조금씩 먹어가며 체력을 보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식품을 배낭이 아닌 주머니에 넣고 쉽게 꺼내먹을 수 있게 만드는 것도 좋다고 합니다.

 

4. 겨울철 등산시 주의할 점 : 비상식량을 꼭 준비하기.

 

겨울철뿐만 아니라 등산을 할 때는 비상식량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더욱 필요한 것이 바로 비상식량입니다. 우리 몸에서 에너지원이 소화, 흡수되어 사용되는 순서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순인데, 운동초기에는 탄수화물로부터 얻어진 포도당이 주로 사용되다가 몸이 어느 정도 덮혀지면 지방을 조금씩 분해해서 사용하다가 운동이 3시간 이상 지속되면 주 에너지원으로 지방을 사용하게 됩니다. 단백질은 평상시에는 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상식량을 준비할 때는 빨리 포도당으로 변하는 당질의 탄수화물 식품이 좋으며, 사탕, 초콜릿, 말린 과일 등이 좋습니다.

 

 

5. 겨울철 등산시 주의할 점 : 모자 쓰기.

 

겨울철 등산을 하면서 모자를 쓰는 이유는 멋이 아닌 건강을 위해서입니다. 우리의 머리는 체온조절의 30~50%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겨울철 등산 시 머리를 보호하는 모자를 쓰지 않게 되면 열을 외부로 발산시켜 체온이 내려가게 됩니다. 몸은 추워지면 머리와 같이 생명유지에 꼭 필요한 부분을 우선 따뜻하게 하기 위해서 손이나 다리로 피를 덜 보내게 됩니다. 그럴 경우 손과 다리에 체온이 낮아져 동상에 걸릴 수도 있고 조직의 괴사가 올 수 있습니다. 머리에 모자를 쓰게 되면 그만큼 열의 발산을 막아줄 수 있기 때문에 손과 발도 체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겨울철 등산시 주의할 점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겨울 산행은 멋진 풍경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하지만, 그만큼 위험요소들이 많기 때문에 평상시 보다 더 조심하여 등산을 하여야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