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정보

오래된 매실액 약일까? 독일까?(오래된 매실액을 먹어도 될까요?) 매실청의 유통기간은?

반응형

요즘 시장에 나가보면 눈에 많이 보이는 것이 있는데 바로 "매실"입니다.

매실청을 담그는 시간이 왔기 때문입니다.

매실청은 매실과 설탕만 있으면 간단하게 할 수 있고 각종 요리나 차로도 마실수 있으며 건강에도 좋다고 하여 많은 분들이 매실청을 만들고 있습니다.

매실은 초록 다이아몬드라고 할정도로 영양소가 풍부하다고 합니다.

 

매실은 매화나무의 열매로 5월말부터 6월 중순에 녹색으로 익는데 수확시기나 가공법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껍질이 연한 녹색이고 과육이 단단하며 신맛이 강한 것을 청매, 빛깔이 노란색을 띄는 황매, 청매를 쪄서 말린 금매, 청매를 소금물에 절여 햇볕에 말린 백매, 청매의 껍질을 벗겨 연기에 그을려 검게 만든 오매 등 매실은 다양한 이름이 있습니다.

 

매실 열매는 과육이 약 80% 정도를 차지하고 그중 약 85%가 수분이며 당질이 약 10%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매실에는 무기질, 비타민, 유기산등이 풍부하며, 칼슘, 인, 칼륨 등의 무기질과 카로틴도 들어있다고 하는데, 그중에서 시트르산은 당질의 대사를 촉진하고 피로를 풀어주며, 유기산은 위장의 작용을 활발하게 해 식욕을 돋우는 작용도 한다고 합니다.

 

 

매실은 과육을 직접 먹는 것보다 매실청을 많이 담거나, 술, 잼, 주스, 식초, 차로 많이 활용하는데 그중에서 매실청을 가장 많이 만들고 일상생활속에서도 활용한다고 합니다.

매실청은 매실과 설탕을 1 :1 혹은 1: 0.9정도로 100일 정도 숙성시킨 후 매실을 건져내고 먹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경우입니다.

 

하지만 매실씨앗에는 아미그달린 성분과 매실청 발효 시 발생하는 알코올이 만나면서 발암물질이 생기기 때문에 안전하게 섭취하기 위해서는 1년 정도 숙성시켜두었다가 먹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즉 매실청을 만든후 100일 정도 후에 매실을 건져내고 1년 정도 숙성시킨 다음 먹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합니다.

 

그런데 요즘 나는 자연인이다라는 프로그램을 보다보면 매실청을 만들어 적게는 수년부터 많게는 10년 이상 보관하면서 먹는 장면들이 많이 나옵니다.

과연 이렇게 오래된 매실청을 먹어도 건강에 아무런 이상이 없을까요?

 

대부분의 음식들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변질되거나 상하여 먹었을 경우 우리몸에 안 좋은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수년, 수십 년이 지난 매실액을 먹어도 상관이 없을까요?

 

시중에서 판매되는 매실액을 보면 유통기간이 적확하게 명시되어 있습니다.

보통 2~3년정도의 유통기간이 있는데, 이렇게 유통기간이 있다는 것은  유통기간이 지났을 경우 제품이 변질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럼 집에서 만든 매실청은 유통기간이 어떻게 될까요?

집에서 만든 매실청은 어떻게 보관하느냐에 따라 유통기간, 즉 섭취기간이 달라질수 있다고 합니다.

설탕과 같이 당도가 높은 식품은 방부제 효과가 있어 섭취기간이 넉넉하지만, 사용시 외부의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당도의 하락으로 인하여 방부효과가 떨어질 수도 있고, 수분기 증가로 인한 곰팡이들의 생성이 생길 수고 있습니다.

 

즉 충분한 양의 설탕을 넣어서 매실의 산도와 설탕의 당도가 50브릭스정도 되면 수년이 지나도 부패나 변질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매실청 보관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매실청을 사용할 때 국자와 같은 용기를 사용하다 보니 이물질이 들어가서 부패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매실청을 만든 후 사용 시 주의를 하면 사용기간은 충분히 길게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오래된 매실청의 유효기간과 먹어도 되는지, 안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