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잘못알고 있는 수면습관들

반응형


사람은 평생 30% 이상을 잠으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누군가는 하루에 3시간을 자고 일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누군가는 8시간 이상을 자야 생활화는 사람이 있습니다.


과연 잠은 얼마나 자야 정답일까요?


오늘은 잘못된 수면습관과 잠을 잘자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성인은 하루에 5시간만 자도 생활하는데 지장이 없다???


바쁜 현대인들이 하루에 5시간정도를 자면서 생활하고 있는데 과연 좋은 습관일까요?


하루에 5시간을 자면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건강에 아주 큰 부작용이 있습니다.


미국 질병통제센터(CDC)와 수면 전문가들이 권하는 하루 수면시간은


성인기준 18세부터 60세까지는 하룻밤에 최소한 7시간을 자야 한다고 합니다.


그래야 정상적인 신체활동을 할수 있다고 하는데 


과연 하루에 7시간을 자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7시간 미만의 잠을 자고도 신체기능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성인은 극소수하고 합니다.




2. 잠을 자면서 코를 고는 것은 정상이다???


잠을 자면서 가끔 코를 고는 것은 특별하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항상 심하게 코를 곤다면 심각한 수면장애인 


수면무호흡증의 신호일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을 방치하면 밤의 숙면이 불가능하고


수면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낮에 심한 피로에 시달리게 됩니다.


코골이가 심하다면 전문가와 상담을 꼭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3. 가벼운 술한잔은 숙면에 도움이 된다???


잠을 빨리 들기위해서 가볍게 술한잔을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맥주한캔정도라든지 소량의 와인등을 마심으로서 수면을 유도하는 경우입니다.


이렇게 마시는 술이 수면 잠복기를 단축한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결과적으로 깊은 반에 수면장애를 유발할수 있습니다.


술을 마시면 빨리 잠은 들지 모르지만 깊은 렘(REM)수면엔 방해가 된다는 말입니다.


또한 잠들기 전에 마시는 술은 수면 무호흡증을 악화시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4. 낮이든 밤이든 잠자는 시간은 상관없다???


어쩔수 없이 밤에 일하는 사람들은 낮에 잠을 자야하지마


잠자는 시간대가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건 입증된 사실입니다.


생체시계가 교란된 야간근무자들은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하고,


수면의 질도 주간 근무자보다 낮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발표되었습니다.


야간근무자는 또한 장기적으로 우울증, 당뇨병, 암과 같은 질병이


생길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합니다.


될수있으면 밤에 자고 낮에는 일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잠을 적게자는 것이 습관되면 뇌와 신체는 적응을 한다???


잠을 적게 자도 몸이 적응할 것이라고 믿고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건 잘못된 생각입니다.


실험을 통해서도 발표가 나왔는데


몇주 동안 밤잠을 충분히 자지 못한 사람들은 낮에 


수행능력이 떨어진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또한 야간근무자들이 잠을 잘 자지 못하고 질병 등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충분한 수면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6. 잠이 잘안올때도 침대에서 잠을 청하는 것이 좋다???


많은 분들이 잠이 올듯 말듯 할때 침대에 계속 누워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건 굉장히 안좋은 습관입니다.


잠이 잘 안올경우 침대에서 일어나서 다른 일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책을 본다거나 간단한 체조나 요가, 명상등을 통해서


심신을 안정시키는 것이 빠른 수면에 도욱 도움이 됩니다.


특히 밤에 잠을 잘 자기 위해서는 생체시계를 교란하는 전자기기의 청색 불빛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니다.


스마트폰은 멀리하고 티브도 끄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으로 우리가 잘못알고 있는 수면습관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잠을 잘자야 일하는데 지장도 없고 피로도도 없습니다.


충분한 수면과 좋은 음식, 적당한 운동으로 건강한 하루하루를 보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