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정보

틀리기 쉬운 맞춤법 모음 헷갈려 자주 틀리는 맞춤법들

반응형


한글 참 어렵지요.


쉬운것 같은데 비슷한 글씨가 많아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틀리는 것은 계속 틀리기 마련입니다.


이번에 확실하게 알고 가세요.


헷갈리고 틀리기 쉬운 맞춤법데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되 VS 돼


'되' 와 '돼'가 들어갈 자리에 '하'와 '해'를 넣어보세요.

'하' 가 어울리면 '되', '해'가 어울리면 '돼'입니다.


2. 안 VS 않


문장에서 '안', '않'을 빼도 말이 되면 '안', 말이 안되면 '않'입니다.


3. ~데 VS ~대


'데'는 경험한 것을 말할때, '대'는 남이 말한 것을 전달할때 씁니다.


4. 있다가 VS 이따가


'있다가'는 '머물다가' : 공간적의미,

'이따가'는 '조금 후에' : 시간적의미입니다.


5. 몇일 VS 며칠


'며칠' 이 맞는 표현입니다.


6. 왠만하면 VS 웬만하면


'웬만하면' 이 맞는 표현입니다.

'왠'은 왠지라는말에서만 사용합니다.


7. ~히 VS ~이


'히'나 '이'가 들어갈 자리에 '하다'를 넣었을 때 

말이 되면 '히', 말이 안되면 '이'를 사용합니다.


8. 예기 VS 얘기


'얘기'는 이야기의 줄임표현이므로 '얘기'가 맞는 표현입니다.


9. 베다 VS 배다


'베다'는 자르다, 상처내다, ~을 받치다에 사용합니다.

'배다'는 스며들다, 습관이 되다, 아기를 가지다, 근육이 뭉치다등에 사용합니다.


10. 어떻게 VS 어떡해


'어떻게' 어떠하다가 부사적으로 쓰이는 말입니다.

'어떡해'는 어떻게 해의 줄임말입니다.


11. 담궜다 VS 담갔다.


'담갔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12. 뵈요 VS 봬요


'봬요' 가 '뵈어요'의 준말이므로 '봬요'가 맞는 표현입니다.


13. 바램 VS 바람


'바램'은 색이 변하다에 사용하고,

'바람' 은 무언가를 원하다에 사용합니다.


14. 예요 VS 이에요


'예요'는 이예요의 줄인 형태입니다.

앞 말의 마지막 소리가 모음일 경우에는 '에요', 

자음일 경우에는 '이에요'를 사용합니다.


15 맞추다 VS 맞히다


'맞추다' 는 비교하고 자리에 끼어 넣는것이고,

'맞히다'는 정답이나 과녁을 맞히는것.


16. 하던지 VS 하든지


과거형에서 선택을 나타낼 때 '든'을 사용합니다.


17. 인마 VS 임마


'인마'가 맞는 표현입니다.


18. 지그시 VS 지긋이


'지그시'는 사물을 쳐다볼때,

'지긋이'는 연세가 지긋하다 할때 사용.


 19. 낳다 VS 낫다 VS 났다 VS 나았다


아기를 '낳다', A보다 B가 '낫다',

뾰루지가 '났다', 감기가 '나았다'


20. 틀리다 VS 다르다


'틀리다'는 잘못되었을 때,

'다르다'는 정답과 오답이 없고 

단지 차이를 나타낼때 사용합니다.



이상으로 틀리가 쉽고 헷갈린 단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