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정보

공기청정기 고르는 방법

반응형


요즘 미세먼지로 연일 방송에서 이야기를 합니다.


외출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집에오면 손발을 깨끗하게 닦아라,


외출을 삼가하고 집안에 있어라등등 미세먼지에 어떻게 대응을 해야 하는지 이야기 합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공기청정기를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만해도 2개의 공기청정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는 안방에 하나는 거실에.


공기청정기를 틀어놓으면 왠지 집안이 상쾌해지는 기분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공기청정기 잘고르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헤파필터 종류 확인하기.


공기청정기 필터는 큰 먼지를 걸러주는 프리필터,


공기 중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


초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헤파필터로 구성됩니다.


우리가 걱정하는 미세먼지는 미세한 헤파필터를 통해 정화됩니다.


이 헤파필터는 H10~H14단계로 나눠지는데 단계가 높을수록


더 작은 입자의 먼지를 걸러준다고 하니 


헤파필터 등급이 높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2. CA인증 마크 확인하기


CA(Clean Air)인증이란,


집진효율, 탈취효율, 오존 발생농도, 소음도 등


기능적인 측면과 OIT등 국가가 지정한 유독물질 검출 여부를 


검사한 후 부여하는 공기청정기 단체 표준 인증입니다.


유해필터 논란 이후 안전서에 대한 기준이 강화되었다고 하니


공기청정기를 고를 때는 꼭 CA인증 마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 소음체크하기.


항상 틀어놓는 가전제품이기 때문에


소음이 심하지 않은지 확인해야 합니다.


평소에는 55dbd이하,


최저풍향에서는 20~30db 이하의 소음이 적당합니다.


소음에 대한 정보가 명시되어 있는지 꼭 확인해봐야 합니다.




4. 사용할 장소의 면적 확인하기.


공기청정기는 제품마다 공기 청정이 가능한 면적이 다릅니다.


무조건 큰 용량을 고르기보다는


우리집에 맞는 공기청정기 용량을 따져보고 구입해야 합니다.


일반적을 집 평수를 3으로 나누어(30평일경우 10평제품)


공기청정기 전용면적을 선택하면 적당합니다.


또한 대용량 공기청정기를 하나 사용하는 것보다


방마다 소용량 제품을 따로 사용하는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5. 유지비용 확인하기.


초기 구매 비용도 중요하지만 필터 교체 등의 


유지비용도 꼭 확인해 봐야 합니다.


필터 교체 비용과 교체 주기가 적당한지


A/S는 잘되는지도 확인하고 공기청정기를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공기청정기를 잘고르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요즘같은 미세먼지 많은 계절에는 꼭 필요한 정보이니


공기청정기 구입을 하려고 하시는 분들이 있다면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